영화 평점이나 리뷰 조회할 때 사용하는 사이트 7가지 추천합니다. [All About Movie]

  • Post author:

여러분들은 영화를 보러 가실 때, 어떤 사이트를 먼저 사용하시나요? 보통은 네이버에 검색해서 리뷰를 사용하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아래 사이트 등을 이용하는데요. 특히 아래 순서대로 쭉 이용하시다 보면 원하시는 정보를 바로 찾으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 네이버 영화 리뷰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사이트 아닐까 싶습니다. 우리나라 사이트 중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로 영화 홈페이지는 없고 네이버 사이트에서 바로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펜하이머를 검색해볼까요? 네이버 검색창에서 오펜하이머를 검색하게 되면 실제 평점이 23년 8월 20일 기준 8.51이고 누적 관객이 131만명이라는 사실을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네이버 영화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만큼 배급사 등의 알바가 많이 활동을 한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해당 내용은 최신글 보기 버튼을 클릭해서 실시간으로 어떤 리뷰 등이 달리고 있는 지를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네이버 영화

2. 다음 영화 리뷰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실 것은 다음 리뷰입니다. 다음 영화 홈페이지에 들어오시면 바로 현재 영화관에서 상영 중인 영화들이 많이 나오게 되고 평점도 같이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 자 오펜하이머 평점은 7.3점이네요. 다음에서는 조금 상당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리뷰들도 직접 클릭해서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왓차피디아

우리나라 영화 리뷰 사이트에서 가장 큰 사이트로 불리고 있습니다. 영화 잘 아신다고 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이 사이트를 사용하시고 있을 것 같은데요. 우리들에게 아주 유명한 평론가인 이동진 평론가가 해당 사이트에 별점을 올리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특히 내가 영화에 평점을 매겨두면 그 평점을 기반으로 나에게 영화를 추천해주기도하고, 아직 시청하지 않은 영화에 대해서 평점을 예측해주는 서비스도 하고 있으니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4. 씨네21

시네21 많이 사용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른쪽 상단에 있는 검색창에 오펜하이머라고 입력해볼까요? 입력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씨네21 영화

네티즌 평점이 6.25밖에 안되네요. 전문가 평점이랑 크게 차이가 많이 나는데, 네이버 평점이랑 참 많이 차이가 나죠? 리뷰도 볼 수 있으니 원하시는 영화를 직접 선택하셔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특이 씨네21 평점 같은 경우에는 평론가의 평들이 굉장히 좋은 경우가 많으니 평론가의 평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5. IMDb

어느 날은 그냥 검증된 호불호 갈리지 않는 영화를 보고 싶으실 때가 있을 겁니다. 이때는 IMDb 들어가셔서 평점 7.0 이상인 영화를 고르시면 됩니다. 평점 기능도 있지만, 영화의 스펙 정보들이 총 망라가 되어 있어, 그 내용 위로 사용하시면 아주 좋습니다. 한번 IMDb에서 오펜하이머를 검색해볼까요? 제일 상단에 있는 Search 탭에서 Oppenheimer를 검색해봅니다.

평점이 8.6이고 벌써 363,000개의 평점을 받은 것을 보면 굉장히 볼만한 리뷰일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겠네요. 저도 얼른 예매해서 보러가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User Ratings의 분포까지 확인할 수 있으니 더욱 더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MDb 영화

6. 레터박스

우리나라에서 최근 급격히 뜨고 있는 사이트 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서비스인 왓차피디아 처럼 자신이 이 영화를 본 날짜와 재감상 여부까지 모두 기록할 수 있는 사이트라서 굉장히 좋죠. 특히 유저들의 리뷰를 직접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동남아에서 레터박스 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럼 같이 한번 오펜하이머를 검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특이하게 이 사이트는 10점 만점이 아닌 5점 만점을 사용하고 있고, 영어로 리뷰가 나오는 것은 해석하기에 조금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1문단 정도의 리뷰를 남기고 있기에 충분히 참고가 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리뷰 시스템과 거의 비슷한 느낌을 받을 수 있네요.

레터박스 영화

7. 키노라이츠

우리나라 영화 평점 서비스 입니다. 특이한 점은 신호등 시스템 정도가 있을 것 같습니다. 호불호를 평가하는 특이한 시스템이 있어서 추천드릴 수 있겠습니다. 다만 해당 사이트는 평가 표본이 조금 적은 면이 단점입니다. 그래도 우리가 생각하는 영화들은 다 있어서 해당 사이트도 참고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영화 평점을 보는 사이트 등을 모아서 알려드렸는데요. 우리도 귀중한 시간을 내서 영화를 보는데 재밌는 영화를 보는게 훨씬 좋겠죠. 오늘 알려드린 사이트 등을 통해서 좋은 영화를 보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남기기